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일반 도구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18.191.37.17
IP 사용자
설정
다크 테마로
라이트 테마로
로그인
최근 변경
더보기
이동
삭제
역사
ACL
윤석열 정부/임기 초 지지율 급락 사태
(r21 문단 편집)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AW 편집
=== 2022년 7월 말: 지지율 30%선 붕괴 === [youtube(YmlPcSGimv0)] [youtube(h8XM7_Ic2CI)]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직무수행 평가 응답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긍정||부정||최초 공표·보도일||조사기간||조사기관||보도|| ||36.8%||61.4%||7월 27일||2022-07-23~25||알앤써치||[[https://www.nesdc.go.kr/portal/bbs/B0000005/view.do?nttId=12041&menuNo=200467&searchTime=::%20%EB%82%A0%EC%A7%9C%EA%B5%AC%EB%B6%84%20::&sdate=2022-08-11&edate=2022-08-11&pdate=&pollGubuncd=&searchCnd=1&searchWrd=%EC%95%8C%EC%95%A4%EC%8D%A8%EC%B9%98&pageIndex=1|여심위]] [[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6286|#]]|| ||34%||54%||7월 28일||2022-07-25~27||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br]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68256|#]]|| ||36%||62%||7월 29일||2022-07-26~27||미디어토마토||[[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37487|#]]|| ||28%||62%||7월 29일||2022-07-26~28||한국갤럽||[[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43159?rc=N&ntype=RANKING|#]]|| ||||||||||||※ 표의 출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https://www.nesdc.go.kr/portal/bbs/B0000005/list.do?menuNo=200467|#]]와 보도 참조함|| }}}}}}}}} || 결국 2022년 7월 29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조사에서 윤석열이 직무수행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28%,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62%인 것으로 나타났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43159?rc=N&ntype=RANKING|#]] '''불과 취임 80일만에 지지율 30%선이 붕괴된 것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770292?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8/0000367693?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30809?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660/0000013594?ntype=RANKING|#]],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314|#]] 직무 수행에 있어 긍정 평가는 28%, 부정 평가는 62%가 나와서 긍정은 조사한 지난 주보다 4%P 떨어졌고, 부정은 2%P 올랐다. 부정과 긍정의 차이는 34%P나 된다. 특히 [[국민의힘]] 본거지, [[텃밭(정치)|텃밭]]이라고 할 수 있는 [[대구경북]]에서도 긍정 40%, 부정 47%를 찍었으며 [[전라도|광주·전라]]에서는 긍정평가가 9%에 불과했다. 전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질렀다.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에서 긍정평가가 각각 17%에 불과했고, 20대 이하는 20%, 50대 이상은 27%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42893|#]] 부정평가 이유는 인사(21%), 경험·자질 부족/무능함(8%), 경제·민생 살피지 않음(8%), 독단적(8%), 모름/응답거절(7%), 소통 미흡(6%) 등의 순이고, 긍정평가 이유는 모름/응답거절(24%), 공정/정의/원칙(9%), 주관/소신(6%), 경제/민생(6%), 전 정권 극복(6%), 소통(5%) 등의 순으로 나왔다. 윤석열의 지지율 '''긍정평가 이유 중 제일 많이 나온 것이 '모름''''임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 이를 다른 사족 없이 있는 그대로 해석하자면 [[대깨윤|'''"뭘 잘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지지함"''']] 이라는 것이다. 한 마디로 유명인에게 으레 따라다니는 '''[[콘크리트 지지층]]'''의 개념인 것. 물론 선출제 공무원으로 성공하고자 하는 사람에겐 이런 인기에 기반한 콘크리트 지지층도 중요하긴 하지만, 일국의 대통령씩이나 되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업적, 업무 수행 능력, 청렴 및 공정함, 정치력'''을 평가하는 유권자는 점점 이탈하고 '''무조건적인 지지'''를 보내는 초강경파만 남아가는 이러한 상황을 결코 여유만만하게 받아들여선 안 된다. [[박근혜]]는 임기 2년 차가 끝나는 [[2015년]] 1월 4주(29%), [[문재인]]은 임기가 1년 정도 남은 [[2021년]] 4월 5주(29%)에 처음으로 직무 긍정률이 30%보다 내려갔고, 특히 문재인은 해당 조사의 29%가 임기 중 최저치였다. '''반문 정서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가 아이러니 하게도 두 달 만에 [[문재인 정부]] 임기 중 최저치보다 못한 성적표를 받은 것이다. 재임 첫해에 이 정도의 처참한 성적표는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 이후 세번째이다. 참여정부는 대북송금 특검 수용으로 인한 여당과 진보층의 이탈과 [[노건평]] 땅 투기 의혹, [[권노갑]], 최도술 등 측근 비리 의혹[* [[노무현]]은 사실 이전 대통령들과 같이 강력한 정치지지기반으로 당선된 것도 아니었고, 각종 개혁을 추진하는 성향이었으며, 특히 언론과도 사이과 나빴기에 임기초에 당시 기준으로 가장 빠른 지지율 하락세를 타 큰 논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선 8개월차에는 국민투표를 통해 재신임을 묻겠다고도 발언을 한 바 있고, 얼마 있지 않아 야당의 기습 작전으로 탄핵소추안까지 통과된 것을 보면 당시 지지율 하락의 충격은 상당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031214/8010773/1|[盧 "불법자금 한나라 10% 넘으면 사퇴"]“대통령직 걸고 게임하나"]]], 이명박 정부는 참여정부 말기부터 좌우 각계에서 논란을 지피던 광우병 사태로 인한 지지율 폭락이라는 사건이 있었지만, 윤석열 정부는 이거다 싶을 큰 사건사고가 없는데도 이런 지지율이 나오고 있다. 대통령 지지율 하락의 여파로 여당인 국민의힘의 지지율도 같이 하락하였고, 국민의힘에서는 비대위 전환을 위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수립 논란]] 문서 참고.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20%대까지 내려앉자 내셔털인터레스트 칼럼과 블룸버그 기사에도 "윤 대통령이 너무 빨리 미국의 짐이 됐다"는 우려의 칼럼이 게재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670142?sid=104|#]]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2-07-26/feud-with-police-adds-to-south-korea-president-s-early-struggles|블룸버그 기사]] [[https://nationalinterest.org/blog/korea-watch/can-biden-save-south-korea%E2%80%99s-unpopular-president-himself-203724?fbclid=IwAR33_RbTAcJWxGgiITR0u88PKQVIamjB7YtaX9MiNgNTKRPVR0keFbgg9Cg|내셔널인터레스트 칼럼]] 단, 내셔널인터레스트 지의 칼럼은 해당 언론사에 소속된 기자가 아니라, [[오마이뉴스]]의 시민기자인 [[최승환(교수)|최승환]] [[일리노이대]] 교수가 작성한 글이다.[* 과거 최승환 교수는 더 힐 기고문을 두고 윤석열에게 듣보잡 취급을 받은 적이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07161|조선일보 기사]] 이 기사 때문에 조선일보는 또다시 [[내로남불]]이라는 비판을 들었는데 그 이유는 [[https://n.news.naver.com/article/047/0002361615?sid=102|윤 대통령 비판 기고글이 외신 둔갑? 당사자가 '조선'에 묻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47/0002361647?sid=102|미 전문매체 기고 '블로그 글'로 깎아내린 <조선>의 왜곡]],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3977|美 매체 기고 칼럼 "외신 둔갑" 깎아내린 조선일보…필자 “이중잣대” 공개 반박]] 기사 참고.]
im preview
angelwiki.org | Operated by LightLab |
개인정보 처리방침
| Powered by The Tree
라이트랩 | 대표자: 전노아 | 사업자등록번호: 587-16-02374 | 담당자: 호시아 니나 | 담당자 연락처:
[email protected]
| 고객센터:
문의
/
신고
clue
|
the tree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사이드바 설정
고정
숨김
우측 표시
하단 표시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페이지 이동 시 검색 창 초기화
사용